콘텐츠로 건너뛰기

중등반 수업계획

    한국 사회에서 문해력 논란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닙니다. 뉴질랜드에 살고 있는 우리 아이들의 사정 역시 이와 다르지 않으리란 생각에 올해 중등반은 학생들의 실질적 문해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중등반은 한국 초등학교 고학년군(5~6학년) 교과서를 기본 텍스트로 하여 수업을 진행하되, 교과서의 모든 부분을 다루지는 않고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필요한 부분을 공부할 계획입니다.

    1학기 (Term1)는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 및 어휘력 늘리기에 초점을 두겠습니다.

    학생들의 수준을 반영하여 수업 계획이 수정될 수 있습니다.

    국어과 교과 역량 6가지 중
    ①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②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③ 자기 성찰·계발 역량을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

    5학년 2학기 국어 교과서(가, 나)를 기본 텍스트로 진행합니다.
    ① 교과서의 모든 부분을 다루지는 않고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필요한 부분을 공부할 계획입니다.
    ②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의 전통, 문화재, 역사에 대한 부분을 수업자료로 삼아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를 접하도록 합니다.
    ③ 지속적인 쓰기 연습을 통해 한국어를 도구로 생각하고 표현하는 법을 배웁니다.

    쓰기 활동을 위한 노트와 필기구

    WeekContents
    week 1① 기행문의 특성 파악하기
    ② 기행문 써보기
    week 2① 글의 종류(설명문, 논설문)에 따른 읽기 방법 배우기
    ② 훑어 읽기와 자세히 읽기의 차이 알기
    ③ 자신 만의 읽기 방법 찾아보기
    week 3① 이야기의 흐름 배우기
    ② 자신의 경험을 소재로 이야기 만들기
    ③ 만든 이야기를 친구들과 서로 공유하고 감상하기
    week 4① 공감하며 대화하는 방법 알기 + 사례연습
    ② <최초의 여자 비행사 권기옥> 이야기를 읽고 공감하며 대화 나누기
    week 5① 지식이나 경험을 활용해 글 읽기 (조선의 냉장고 ‘석빙고’)
    week 6① 의견을 조정해야 하는 까닭 알기
    ② 토의 과정에서 의견을 조정하는 방법 알기
    week 7① 호응 관계를 생각하며 겪은 일이 드러난 글 읽기
    ② 문장 성분의 호응 관계 알기 (결코, 전혀, 별로, 여간, 도저히, 그다지 등)
    week 8① 낱말의 뜻을 짐작하며 읽기
    ② 글을 요악하는 방법 알기
    ③ 글의 구조에 따라 요약하기
    week 9① 매체 자료의 특성을 생각하며 알맞은 방법으로 읽기
    ② 매체 자료를 알맞은 방법으로 읽고 주요 내용 정리하기
    ③ 매체 자료의 특성을 생각하며 이야기를 읽고 현실 세계와 비교하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ko_KRKorean